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

EEPROM과 Flash Memory 비교 1. EEP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은 On-Board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을 Byte 단위로 read 하거나 write 할 수 있으므로 사실상 SRAM처럼 사용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그러나, 이것은 read 동작은 access 동작이 다소 느릴지라도 SRAM과 유사하므로 별 문제가 없는데 비하여, write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1byte를 write 할 때마다 수 ms 이상의 시간 지연이 필요하므로 SRAM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EEPROM은 실시간으로 사용되는 변수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나 스택 메모리로는 사용될 수 없으며, 한번 내용을 저장하면 비교적 오랫동안 이를 기억하고 있으면서 주로 이를 읽어 사용하기만 하거나 전원을 꺼.. 2025. 1. 7.
NVMe,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1. NVMe란 NVMe(비휘발성 기억장치 익스프레스)는 플래시 스토리지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사용되는 입출력(I/O) 당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고도로 병렬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NVMe SSD는 병렬 처리와 폴링을 허용하는 장치 드라이버의 변경으로 인해 기존 하드 디스크 드랑이브(HDD)보다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대기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기업 워크로드는 물론 수많은 소비자 및 전문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2. NVMe가 중요한 이유 NVM express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및 SAS(Serial Attached SCSI) 프로토콜을 대체하기 위해 2008년.. 2024. 12. 28.
SSD의 단점 알아보기(vs HDD) 1. 가격 및 신뢰성 상대적으로 하드 디스크와 용량 대비 가격을 비교하면 여전히 비싸다. 하지만 SSD 시장이 급성장하고 TLC, QLC, 3D 스택 등 집적 기술 발전으로 용량 대비 단가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HDD도 기술 발전으로 용량 대비 단가가 떨어지고 있으니 단시간에 HDD의 용량 대비 가격을 넘는다고 보긴 어렵다. 그나마 장기적으로 보면 HDD 보다는 SSD 쪽이 성능 상 발전할 여력이 많이 남아 언젠가 단가 역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SSD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어느 정도 상용화 된 현재도 용량 대비 가격은 HDD 쪽이 훨씬 우위에 있다.  사용 시간이 길수록 신뢰성이 떨어진다. 저가 대용량 제품일수록 대용량 데이터 쓰기 작업 시 성능이 떨어진다.  MLC는 SLC 보다 .. 2024. 12. 28.
SSD의 장점 알아보기(vs HDD) 1. 대역 SSD는 초기에 SATA2/3 기반으로 나왔을 때도 기존 하드 디스크보다 몇 배는 높은 대역폭을 여주며 빠르게 컴퓨터 사용자들의 애용품이 되었다. 순차적 읽기/쓰기 기준으로 SATA2 SSD는 300MB/s, SATA3은 500MB/s 안팎의 대역폭이 나온다. SSD는 USB 메모리나 SD카드처럼 단순히 플래시 메모리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 여러개를 컨트롤러로 제어해 동시에 읽기 쓰기 작업을 하는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으로 대역폭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SATA3 인터페이스가 SSD의 발전을 받쳐주지 못하면서 새로운 규격이 등장했다. 이중 NVMe 인터페이스 기반의 SSD의 읽기 속도가 2,000MB/s를 넘어가고, 쓰기 속도는 1,500MB/s를 넘어가면서 엄.. 2024. 12. 28.
반응형